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4) 블렌더 Move Rotation Scale 기본 Transfrom 사용 방법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블렌더에서 제일 기본이면서도 중요한 3 가지 기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Move (이동) 오브젝트나 블렌더 안에서 선택 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을 움직일 수 있습니다. 단축키는 영문 상태 알파벳 G 입니다.

2. Rotation (회전) 오브젝트나 블렌더 안에서 선택 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을 회전 할 수 있습니다. 단축키는 영문 상태 알파벳 R 입니다.

 

3. Scale (스케일) 오브젝트나 블렌더 안에서 선택 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의 크기를 바꿔 줍니다. 단축키는 영문 상태 알파벳 S 입니다. 

 


Tool 바는 3D Viewport 에서 단축키 T를 눌렀다 안 눌렀다 해서 On/Off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툴바 옆에 마우스를 두면 양쪽으로 화살표가 나오는데 이때 왼쪽 클릭 후 당겨서 크기를 키워 줄 수 있습니다. 

그러면 툴에 대한 각각의 설명이 나옵니다. 

Move, Rotate, Scale 에 마우스를 두면 단축키 설명이 나옵니다.

 

Trnasform 을 선택하면 Move, Rotate, Scale 이 한 번에 적용 됩니다.

 

 

이동, 회전, 스케일 할 때 중요한 점은 3차원 즉 3D 월드에서 움직이다보니 어디를 기준으로 이동, 회전, 스케일이 바뀌는지 알고 있어야 합니다. 

 

무슨 뜻이냐면 이동 단축키 G를 그냥 움직이면 x,y,z 모든 좌표에서 오브젝트가 움직이면 G를 누르고 다시 X를 누르면 X축으로만 고정이 돼서 움직이게 됩니다.

 

Y를 누르면 Y축으로만 움직이고 Z를 누르면 Z축으로만 움직이게 됩니다.

 

회전 할 때도 R을 누르고 움직이면 x,y,z 축으로 회전이 동시에 되지만, R을 누르고 X를 누르면 X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됩니다.

 

동일하게 Y를 누르면 Y축, Z를 누르면 Z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됩니다.

 

또 중요한게 블렌더 3D 월드에서 Global 과 Local을 알아야 합니다. 

 

화면 위에 Transform Orientaions 이라고 나오고, 기본이 Global로 되어 있습니다.

 

이동, 회전, 스케일을 적용 할 때 3D 전체 월드를 기준으로 적용 한 다는 뜻 입니다.

근데 Local을 선택하면 현재 선택한 오브젝트를 기준으로 X, Y, Z 를 적용 할 수 있습니다.

 

 

위에 이미지를 보면 X, Y, Z 가 정확하게 3D 월드 기준으로 표시 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Global)

위에 이미지는 X, Y ,Z 축이 선택한 큐브를 기준으로 표시 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Local)

 

3D 뷰포트에서 Global - Local 을 마우스로 하나씩 바꿔줘도 되고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은 단축키를 이용하는 방법 입니다.

 

이동 단축키 G를 누르고 X를 누르면 기본은 Global 기준으로 X축에 대해 움직이만 X를 한 번 더 누르면 Local X 축을 기준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회전, 스케일도 동일하게 적용 됩니다. 

 

 

그리고 Move, Rotate, Scale  툴을 선택 했을때 빨간삭, 초록색, 파란색으로 나타나는 화살표를 기즈모(Gizmos) 라고 합니다.

왼쪽 툴이 Move, Rotate, Scale, Transform 일때 나오고 기본 Select Box 일 때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계속 나타나게 해주긴 위해서는 3D Viewport 오른쪽 위에 Viewport Gizmos 에서 Object Gizmos 부분 Move, Rorate, Scale을 선택 해주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마우스와 풀 사이즈 키보드를 이용 할 경우 단축키를 이용해서 Move, Rotate, Scale를 적용하는게 편리하지만, 노트북이나 특정 조건에서는 Gizmos를 이용하는게 유용할 때도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블렌더 3D Viewport 에서 이동, 회전, 스케일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동, 회전, 스케일은 3D Viewport 뿐만 아니라, Geometry node, Shader Editor, Timeline 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기본 단축키인 G, R, S는 외워 두시는게 좋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기본적인 오브젝트를 추가 하고 배치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